Soliloquy
-
2017년 예비군 여비Soliloquy 2017. 4. 20. 21:33
2017년도 병역의무자 여비단가 및 지급 기준 블로그 유입로그를 보다가 예비군 여비관련 글이 많아서 한 번 찾아봤다. 국방부 홈페이지에서 찾는게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다. 블로그에 아래아 한글의 표를 그대로 넣으니 HTML 코드가 약간 보기 어려워 져서, 그냥 새로 표를 만들었다. 참고로 다른 년도의 여비는 국방부 입영 동원국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국방부 입영동원국 홈페이지:http://open.mma.go.kr/caisGGGS/board/boardList.do?menu_id=mma0000091&gesipan_id=15 1. 동원훈련(2박3일)동원훈련(2박3일) 거리 지급내역 계 교통비 식비 숙박비 24km이내 3,500 3,500 0 0 25~30km 9,500 3,50 6,000 0 31~40km..
-
사이버 지식 정보방 국방부 페이지 차단?Soliloquy 2017. 4. 16. 22:42
국방부 로고 사이버 지식 정보방에는 도박이나 안보에 위해가 가는 사이트등을 유해 사이트로 지정합니다. 그리고 이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접속 시 차단하고, 나라사랑포털로 자동 이동되게 합니다. 해당 사이트가 정당한 이유로 접근이 차단되었으면 괜찮은데, 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국방부 사이트(mnd.go.kr)도 유해 사이트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국방부 홈페이지에서 정책이나 관련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사이버 지식 정보방이 아닌 다른 인터넷 회선을 쓰는 PC를 사용해야 합니다. 엄청 번거롭지요, 사이트 한번 들어가고 싶은데, 그것도 국방부 사이트를.....?그런데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어쩌다 보니 국방부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졌습니다. 국방부의 도메인(mnd.go.kr) 이 아닌 국방부 메인 홈페이지의 다른..
-
출타할 때 했던 게임 #1 - UndertaleSoliloquy 2017. 4. 16. 11:02
출타 때 했던 게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 #1읽기에 앞서이 글을 쓰는 사람의 글 쓰는 재주가 형편 없습니다. 심심풀이로 적는 글이니 깊게 생각하지 마시고, 흘러 들으세요. 깊게 생각하면 머리만 아픕니다. 그리고 최대한 스포일러 내용은 자제할려고 했으나, 적다보니 약 스포가 되었네요. 참조하시길 오늘의 게임UNDERTALE(이하 언더테일)입니다. 게임을 하게 된 동기평소와 같이 웹서핑만 주구장창 하다가, 언더테일이라는 게임이 인디게임이 대형 개발사 타이틀을 가뿐히 이길만큼 판매 했다는 말을 듣게 되었습니다. 이전 부터 인터넷 방송 BJ 몇몇 분이 이 게임의 데모버전을 하는 것을 보았기에 이 게임에 완전히 흥미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우주명작이라고 불리는 Planescape: Torment 와 비슷하게..
-
군마트(P.X.)의 금융서비스Soliloquy 2017. 4. 16. 10:06
요즘 P.X. 에 가면 카드 단말기로 현금 인출이나 계좌이체, 잔액조회등 카드를 이용한 금융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 같다. 이게 국방부가 나라사랑카드를 위한 복합 결제 단말기를 사용해서 그렇다고 하는데, 나름 좋은 것 같다. 사용 가능한 기능 현금인출서비스 :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의 모든 나라사랑카드로 1회 1~3만원 현금인출 지원(무료) (나라사랑카드 계좌 → PX 계좌 이체 / 인출 방식) 계좌이체서비스 : 나라사랑카드 계좌 → 자/타행계좌 계좌잔액조회 : 모든 은행계좌 조회 가능 물품구매 시 체크카드결제서비스 제공 (타 체크, 신용카드 결제가능) 여담으로 나라사랑카드 전용 서비스인것 같지만, 나라사랑카드가 아닌 카드로도 인출은 잘 되던데.....
-
군 복무중인 곳에서 선거 공보를 받자Soliloquy 2017. 4. 12. 22:54
하든 안하든 자유이긴 하지만, 미래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끼치는 것 중 하나인 투표. 하지만, 자신이 병역 의무를 하고 있는 중이라면, 선거인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공약을 주장하는지 앎에 있어서 어려움이 따릅니다. 이 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 공보 발송신청 서비스 입니다. https://apply.nec.go.kr/index.jsp 위 주소를 접속하게 되면 우선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나게 됩니다. 당연히 발송 신청을 하러왔으므로 하단의 발송신청 버튼을 누르면 되겠지요. 여기서 주의 할 점은 "주소"와 "거소"를 잘 구분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주소는 자신이 살던 집, 거소는 우편물을 받을(현재 복무중인 곳)을 말합니다. 한 번 신청을 완료하면, 수정 할 수가 없으니 유의하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