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로가기 파일의 종류Soliloquy 2018. 6. 21. 16:06
바탕화면 바로가기를 정리하던 중, 엑셀과 파워포인트 파일 위치를 알고 싶어서 바로가기 속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런데 보통 프로그램 바로가기와 다르게 오피스 프로그램의 바로가기 속성의 대상 필드는 아래와 같이 파일의 위치 대신 'Microsoft Office 2013'이라고만 적혀있고 파일의 위치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분명 파일 실행은 작업관리자에 나오듯이 'Program Files\Office15' 폴더의 실행파일이 실행될탠데, 왜 바로가기에는 대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까?
Math Calculator.exe의 바로가기
대상 형식: 응용 프로그램
대상 위치: Mathcalc
대상(T):
시작 위치(S):
바로 가기 키(K):
일반적인 바로가기 속성
PowerPoint 2013
대상 형식: 응용 프로그램
대상 위치:
대상(T):
시작 위치(S):
바로 가기 키(K):
파워포인트 2013의 바로가기 속성
대상을 변경할 수 없고, 시작 위치가 비어져 있다.
바로가기의 종류
윈도우의 바로가기는 아래와 같은 두 가지의 종류로 나뉘었다.
- Advertised (Windows Installer) Shortcuts
- Non-advertised (Standard) Shortcuts
여기서 첫 번째 종류(Advertised Shortcuts)가 오피스 프로그램의 바로가기와 같은 대상 필드에 프로그램 이름으로 채워지고, 대상 수정이 불가능한 바로가기, 그리고 두 번째 종류(Non-advertised Shortcuts)가 일반적인 바로가기 만들기를 할 때 만들어지는 대상 필드에 해당 파일 주소가 있는 바로가기 종류이다.Advertised (Windows Installer) Shortcuts
위 방식은 윈도우즈 인스툴러의 Advertisement 기능을 위한 바로가기 라고 한다. 그래서 Advertised Shortcuts의 대상(Target)은 해당 프로그램의 설치파일인 .msi 파일이 된다.(하지만 설치 파일을 바로가기로 정하기에는 접근성이 떨어짐으로, 속성창에는 대신 'Microsoft Office SKU_NAME 2013'와 같이 설명으로 적혀 있다.)여기서 'Advertisement' 라는 명칭은 광고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단어의 뜻과 비슷하게 윈도우즈 인스툴러의 광고기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기능은 프로그램을 완전히 설치하는 것 대신 해당 프로그램의 설치 파일만을 등록하는 기능이다. MSDN의 설명에 따르면 이렇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만을 설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설치하다가 취소하는 일이 줄어드는 등 전체 설치에 비해서 더 효율적이라고 한다. 1 2그리고 Symantec 사의 글에 따르면 프로그램 설치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이라 윈도우 인스툴러의 복구기능도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복구 기능은 만약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었음에도 실행이 불가능 하다면 윈도우 인스툴러가 중요 파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기능이다. 3요약하자면 Advertised Shortcuts의 대상은 프로그램 설치 파일(MSI)이고 직접 본 실행파일인 exe 파일을 실행 시키는 것보다 오류 복구등에 유리한 이점이 있어서 이렇게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여담
그런데 왜 직접적인 파일 표시는 왜 안남겨 놓는지는 의문이다. 설치 파일 경로와 실행 파일 경로 둘 다 적히게 만들 수는 없나?
그리고 대상 필드 수정 자체를 할 수 없다는 점도 이해가 잘 안된다.
오피스 프로그램의 바로가기가 해당 방식인 이유는 두 번째 장점과 관련이 있는 듯 하다. 문제가 생기면 복구 옵션이 기본적으로 뜨게 만들어져 있으니 프로그램이 갑자기 켜질 일이 확연히 줄어들고, 프로그램 문제 해결에 익숙치 않은 사람에게는 나름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실행되는 파일을 안알려주니 조금 불편한 것은 사실이다. 실행 파일을 찾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쉬운 방법은 프로그램 실행 후, 작업관리자로 프로세스를 찾은 뒤 파일 위치를 여는 방법이었다.
신기하게 엑셀 바로가기를 메모장으로 열면 xlicons.exe 라는 파일 위치가 적혀져 있는데, 이 파일은 직접 실행이 불가능 하였다. 직접 실행 하면 "현재 PC에서는 이 앱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라는 에러가 나와서 실행이 불가능 했다. xlicons.exe는 아이콘만 제공해주는 파일인 것 같다.바로가기 파일의 구조에 관한 설명은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aa371847(v=vs.85).aspx 와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aa368585(v=vs.85).aspx 를 참조해야 할 것 같다. 대략적인 설명으로 Advertised Shortcuts는 Non-advertised Shortcuts와 Target이 다르게 설정된다는 것 만 알겠다.참조:파워포인트 로고: wikimedia.org
[본문에 사용된 SVG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