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사이버 지식 정보방 유튜브에 관한 고찰을 쓴 적이 있었는데 그 이유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크롬의 업데이트는 업데이트 관리자인 googleupdate.exe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googleupdate.exe는 컴퓨터 부팅 또는 Chrome 정보보기로 수동 업데이트시 스케줄러에 의해 실행됩니다. 그리고 추정하기로는 실행 된 후에는 우선적으로
위의 작업을 실행하는데, 하지만 예전에도 말했다시피 사이버 지식 정보방에서는 172 대역의 구글 서버가 모두 안들어 가지지요. 그러므로 만약 1번 과정에서 구글 서버에 접속하려고 DNS 서버에서 172로 시작하는 IP를 가져오면 친근한 '새 버전 확인 중' 에서 안넘어 가는 것이고, 2번 과정에서 172로 시작하는 IP를 가져오면 '새 버전 설치 중' 이라고만 나오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프로세스 외부 주소 원격포트 상태 보낸 패킷 보낸 바이트 받은 패킷 받은 바이트
GoogleUpdate.exe 203.233.88.76 http ESTABLISHED 1 618 24,183 53,119,912
tcpview 내용 일부
이 있겠네요. 저도 요즘에는 업데이트 기다리는게 귀찮아서 업데이트가 안될 때에는 파이어폭스를 쓰고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업데이트 서버는 사이버지식정보방에서 굉장히 빠르게 접속 되거든요. (크롬하고 똑같이 정보보기 한번만 해주면 업데이트 끝!)
[본문에 사용된 SVG 파일]
Google_Chrome_for_Android_Icon_2016.svg
환경 기능사 필기 일대기 (0) | 2017.06.17 |
---|---|
와이파이, 신호가 안좋으면 왜 느려질까? (0) | 2017.06.02 |
사이버 지식 정보방 크롬 업데이트에 관한 고찰 (0) | 2017.05.27 |
사이버 지식 정보방 유튜브 접속 문제에 관한 고찰 (0) | 2017.05.03 |
2017년 예비군 여비 (0) | 2017.04.20 |
사이버 지식 정보방 국방부 페이지 차단? (0) | 2017.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