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iloquy
-
EA Origin의 재치있는 패치 노트Soliloquy 2017. 12. 28. 14:31
Origin(오리진)의 로고 Origin과 패치 노트(Patch Notes) EA에서 만든 Origin은 Origin 인증필수가 되는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 입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업데이트를 통해 조금씩 조금씩 기능들이 추가되고 제거됩니다. 이 때, 어떤 기능들이 바뀌었는지 제작사에서 기록을 해주는 패치 노트도 같이 만들어 집니다. 패치 노트 찾기 EA Answers HQ의 Origin 패치 노트 하지만 Origin의 패치 노트는 찾기가 조금 힘듭니다. 한글로 번역된 패치 노트는 더 찾기 힘듭니다. 과거에는 공식 홈페이지의 업데이트 정보에서 바로 볼 수 있었는데, 어느 순간 업데이트가 안되고 있지요. 원문은 EA의 Answers HQ의 커뮤니티 메니져가 업데이트 해주고 있으며, 아래의..
-
브라우저에 저장된 인증서 파일의 위치Soliloquy 2017. 12. 27. 19:49
인터넷 뱅킹서비스들은 공인인증서를 이용할 때, 프로그램을 통해 공인인증서를 사용하거나, 브라우저 내에서 저장할 수 있게 설정을 제공한다. 공인인증서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이미 널리 알려진 NPKI 폴더에 저장이 된다. 하지만, 브라우저에 저장한다고 하면 어디에 저장할 건지 묻지도 않고, 바로 등록을 시켜버리는데, 대체 어디에 어떻게 저장이 되는 것 일까? 신한은행 인터넷 뱅킹의 로그인 모습 브라우저에 저장할 수 있어서 보안 프로그램 설치할게 한 개 줄었다. 정답은 DOM저장소 공인인증서는 브라우저의 DOM저장소라는 곳에 기록된다. 여기서 DOM 저장소란, 간단히 말해 웹사이트가 이용할 수 있는 저장소다. 대표적으로 검색 서비스에서의 검색 기록, 각 종 사이트에서의 인터페이스 설정 값 저장공간, 광고 ..
-
공공 장소에서의 웨일 브라우저 사용Soliloquy 2017. 11. 25. 13:55
네이버 웨일의 로고 친근한 회사에서 만들어서 그런지, 기능적으로 좋아서 그런지, 최근 이용자가 많이 늘고있는 네이버 웨일. 하지만, 웨일 브라우저의 기본 설정 때문에, 원하지 않게 다른 사람이 나의 계정을 사용하거나, 종료 직전 까지 접속한 사이트를 알 수 있는 문제 아닌 문제가 있습니다. 웨일의 기본 설정 네이버 웨일은 설치 후 처음 시작 시 아래의 순서대로 기본적인 설정을 합니다. 웨일의 기본 설정 순서 여기서 가장 눈여겨 봐야 할 설정은 가장 마지막인 3번째 설정인 사용 환경 설정 입니다. 사용 환경 설정은 사용 환경이 개인인지 아니면 공용인지 선택을 하는 옵션 입니다. 무엇을 선택한지에 따라서 환경에 적합하게 설정이 되는 것이지요. 웨일을 별로 설치해보지 않은 사람은, 차근 차근 하겠지만, 똑같은..
-
사이버 지식 정보방의 육군 예약 체계 접속Soliloquy 2017. 11. 21. 23:20
19/5/10: 육군 복지시설 예약체계 접속 불가시 https://www.welres.mil.kr:448/ 또는 https://www.welres.mil.kr/ 로 접속 국방부 로고 육군에는 레스텔이라는 모텔과 비슷하게 숙박을 지낼 수 있는 시설이 있습니다. 모텔과의 차이점이라면 국방부에서 운영을 지원 한다는 점, 시중 모텔에 비해 저렴하다는 것. 부대 근처에 있다는 점이 있지요. 진군 레스텔, 이기자 레스텔, 자운 레스텔 등 많은 레스텔이 부대 근처에 있습니다. 이 중에서 자운 레스텔, 창조 레스텔, 상무 레스텔을 사용하려면 육군 복지시설 예약체계에서 예약을 한 뒤 방을 배정 받아야 합니다. 보통 인터넷이라면 접속하는데 딱히 큰 문제가 없지만. 특이하게 사이버 지식 정보방에서는 메인 홈페이지에 접근하기..
-
다운로드 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이유Soliloquy 2017. 11. 12. 15:04
인터넷이 보급화된 현재, 휴대폰이든, 컴퓨터든 다운로드는 빠질 수가 없지요.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 생각보다 느린 속도에서 점차적으로 빨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왜 처음부터 빠른 속도로 받지 않는 것일까요? 파일 다운로드는 어떻게 이루어 지나...크롬, 엣지, 파이어폭스 등 웹 브라우저를 통한 다운로드는 거의 TCP 라는 형식으로 이루어 집니다. 여기서 TCP 라는 형식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아래와 같습니다. TCP를 통한 대화 상대이거 받으면 말해 ㅇㅇㅇ 나 상대파일전체 중 10KB 부분 전송 파일전체 중 10KB 부분 받음 (이번에 10KB 받음) 나 상대파일전체 중 20KB 부분 전송 (더 보내야지) 파일전체 중 10KB 부분 받음 나 파일전체 중 10KB 부분 받음 (이번에 2..